Morning Sun Café.net - 아침해 카페

 

五無 사람은 친구로 삼지 마라

 

old%20friend01.jpg

五無의 사람은 친구로 삼지 마라

여기서 오무(五無)
무 정(無情)무 례(無禮)무 식(無識)무 도(無道)
무 능(無能)'을 말 하는 것이다

다 섯 가지를 설명 하면

첫째, 인간미가 있어야 되고,

눈물도 있어야 되고 사랑도 있어야 된다.

그래서 무정한 사람이거든 친구로 삼지 말라고 하는 것이다.

인간의 인간다움의 첫째 조건이 인정이기 때문이다.

그것은 곧 원만한 성품을 뜻하는 말인데, 프랑스 시인

‘아벨 보나르’도 ‘우정론’에서 이상적인 우정의

1덕목을 “좋은 성품”이라고 말한 바 있다.


둘째, 인간은 유일하게 예의를 아는 동물이다.

공자는 예가 아니거든 보지도 말고, 듣지도 말고,

말하지도 말라고 했다. 예의가 없으면 인간이 아니라는

뜻이고 따라서 무례한 사람은 상종하지 말라는 뜻이다

.

맹자가 사양지심(辭讓之心)을 ‘예’의 근본이라고

말한 것을 보면, 예의는 사양하는 마음에서 나오는데,

그 사양심은 양보해주는 마음이고,

속아주고 져주고 관용해주는 마음이다.

그런 사람이면 공자가 말한바 익자삼우라고 할 수 있다

셋째, 학문연구는 인간만의 특권이다.

학문 수준이 있는 사람은 사고방식이 합리적이고

이해심이 깊고, 대개는 인격수준도 높기 때문에

친구감으로 적격이다. 그러나 그 수준이 차이가

많이 나면 안 되고, 비슷해야 된다

그래서 자기보다 많이 무식해도 안 되지만

너무 유식해도 부담이 된다.

보통 ‘무식한 사람을 친구로 삼지 말라’는 말은

지적 수준이 유사해야 된다는 뜻으로 한 말이다.

넷째, 사람은 동물 중에서 유일하게 길을 따라

살아가는 동물이다. 길 중에는 '가서는 안 되는 길’

이 있고 ‘되는 길’이 있다

예컨대 공직자가 가야할 길(사명)이 있고,

교육자가 가야할 길이 따로 있다.

아버지의 길이 있고 어머니의 길이 있다.

그 길에 충실한 사람을 일러서 도리를

아는 사람이라 하고 사명에 충실한 사람이라 한다.

그 길을 무시하고 제멋대로 살아가는 사람을 무도한

사람이라 하는데 그런 사람이 친구이면 욕이 된다


다섯째, 인간은 창조적 동물이면서
상부상조할 줄 아는 동물이다.

인생길을 걸어가다 보면 곤란에 처할 때도 있고

위기를 만날 때도 있고 궁지에 몰릴 때도 있다.

그럴 때 친구를 도와 주려면 인정만으로는 안 된다.

능력이 있어야 되고 적극성이 있어야 된다.

그래서 무능한 사람은 친구가 되기에 적합하지 않다.

커피를 잘 섞으면 향기가 나고

친구를 잘 만나면 힘이 난다.

무엇보다 내가 먼저 五無의 사람이 되는 건 아닌가
반성해야겠다.()

 

old%20friend02.jpg 

 

 

 

 

항상 건강(健强) 하시고 좋은일만 있으시길 바랍니다!

I wish you have a healthy and happy day!

Morningsuncafe.net - 운영자, 무학 CK Yu

 

 

   제목: 五無의 사람은 친구로 삼지 마라 

2012 Copyright   CK Yu 카페 Blog